나의 공부 일기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 1과목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2 / 2 ) 본문

자격증공부/SQL 개발자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 1과목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2 / 2 )

곽병권 2024. 2. 5. 13:18
728x90

정규형

 

제1정규형

     - 모든 속성은 반드시 하나의 값을 가져야 한다.

제2정규형

     - 엔터티의 일반속성은 주식별자 전체에 종속이어야 한다.

제3정규형

     - 제2정규형이고, 기본키에 속하지 않은속성 모두가 기본키에 이행적 함수 종속성이 아님 

     - 엔터티의 일반속성 간에는 서로 종속되지 않는다.

 

 

정규화

 

정규화를 수행하면 중복 속성을 제거하여 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규화 수행 시 데이터처리 성능이 향상됌

반정규화가 조회 성능을 항상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정규화에 의해 성능이 향상될 수도 있다.

정규화로 인해 조회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이 때문에 반정규화를 고려함)

  칼럼에 의한 반복적인 속성값을 갖는 형태는 속성의 원자성을 위배한 1차 정규화의 대상이됌

 

반정규화

 

성능을 위해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는 것이지만 성능의 향상을 항상 보장하는것은 아님

 

 

조인

 

조인(Join)이란 식별자를 상속하고, 상속된 속성을 매핑키로 활용하여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을 의미함

 

 

관계 (Relationship) 

 

부모의 식별자를 자신의 식별자에 포함하면 식별관계

부모의 식별자를 자신의 일반속성으로 상속하면 비식별 관계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식별자를 상속시키고 해당 식별자를 매핑키로 활용해 데이터를 결합해 보겠다는 의미임

 

 

NULL 이란

모르는 값을 의미

값의 부재를 말함

NULL과의 모든 비교 (IS NULL 제외)는 알 수 없음(Unknown)을 반환한다.

NULL값에 어떤 숫자를 더해도 결과는 항상 NULL임

 

 

인조식별자 & 본질 식별자

 

인조식별자는 대체로 본질 식별자가 복잡한 구성을 가질 때 만들어짐 

인조식별자를 사용하면 중복 데이터를 막기 어려워짐

인조식별자를 사용하면 본질 식별자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인덱스가 필요해진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