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보처리기사
- 프로젝트
- 프로그래머스
- 스크랩핑
- lv0
- scraping
- HTML
- 딕셔너리
- 자격증
- SQLD
- 자격증공부
- time.sleep
- 파이썬
- SQL 개발자
- 조건문
- 1과목
- Crawling
- 정리
- CSV
- 크롤링
- 데이터 타입
- django
- 메서드
- 태그
- Python
- 슬라이싱
- 파이선
- SQL
- 데이터베이스
- 튜플
- Today
- Total
목록2023/10 (50)
나의 공부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QB7v/btsyLqMkvqh/S3aCaiDtNJfCkpYRtok260/img.png)
두 수의 나눗셈 입니다. 몫을 구하려면 // , 나머지를 구하려면 % , 나눗셈의 값을 구하려면 / 를 해주면 됩니다. 문제에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후 정수 부분을 반환하라고 했으므로 1,000을 곱해줍니다. num1을 num2로 나누는 문제로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여기서 num1 / num2 * 1,000 을 한다면 정수값이 나오지만 아직 정수형으로 변환을 해주지 않았기때문에 정수.0 으로 아직 실수 값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 실수값을 int()로 묶어주어 반환값 answer에 넣어주면 됩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int(num1/num2*1000)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vxND/btsyMKwwoEp/LJ5VGc8uhBNcOpkzDlkT90/img.png)
몫 구하기 입니다. 변수 num1, num2가 주어질때 num1과 num2를 나눈 몫을 반환하는 문제입니다. 몫을 구하려면 // 를 해준다면 몫만 나오고 % 를 해준다면 나머지만 나옵니다. 그냥 / 를 했을경우 나눈 값이 나옵니다.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에서 num1//num2 의 값을 반환할값 answer에 넣어줍니다. 결과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HkkE/btsyJyYaj93/5WrhduqhkKfVys6QjI75q1/img.png)
두 수의 곱입니다. 변수 num1 과 num2가 주어졌을때 이들의 곱을 반환해주면 됩니다. num1 * num2 를 반환하는 변수 answer 에 넣어주면 됩니다.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결과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08WQ/btsyPz8Q3hd/XKQ7LDZHIKnGIpk5IvypJK/img.png)
이번엔 두 수의 차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초기값으로 이렇게 주어지는데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간단하게 반환값에 변수 num1 과 num2의 차를 넣어주면 끝이납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KTvb/btsyLOGbzIB/snjU6YQ1wKFCQmCZu5rX5k/img.png)
아주 기본적인 초등학생 수학입니다. 변수 num1 과 num2 가 주어졌을때 그들의 합을 반환시키는 문제입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이렇게 초기값으로 주어지는데 반환시킬 값에 num1 과 num2 의 덧셈을 넣어주면됩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KcgU/btsyPVRdG78/76LD5TMRnwz4ZDTSOymQI1/img.png)
이번에는 함수와 메서드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함수는 저번에 정리했던 일반함수와 클래스내에서 사용되는 메서드로 나뉩니다. 더 정확히는 클래스의 멤버 변수를 이용해서 구현된 함수를 메서드라고 부릅니다. 메서드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인스턴스 메서드, 클래스 메서드, 스태틱 메서드 입니다. 먼저 인스턴스 메서드란 객체 생성 후 객체 참조를 통해 호출 가능한 메서드를 말합니다. self변수를 통하여 메서드 호출 객체를 구분하여 객체 변수를 활용합니다. 다음 클래스 메서드 (@classmethod) 는 클래스 이름을 통하여 호출 가능한 메서드입니다.(객체 변수는 활용 불가능합니다.) cls를 통하여 호출시 클래스 정보를 전달하여 클래스 변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은 스태틱 메서드(@staticme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NZEs/btsyIJjQvU0/VPXpMEzOdR2c2TYZBxKE91/img.png)
만약에 우리가 좌표를 저장하는 기능의 코드를 짠다고 가정을 했을 때 class 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변수 두 개를 만든 후 출력하는 x = 10 y = 20 print(f'[{x}, {y}]') 이런 식으로 코드를 짜게 될 겁니다. 한두 번 사용하는 거면 이런 식으로 사용해도 큰 불편함은 없지만 이게 수백 수천번 사용된다고 하면 정말 불편할 것입니다. 저 코드를 클래스로 작성한다면 class Point: def __init__(self, x, y): self.x = x self.y = y def prt(self): print(f'[{self.x},{self.y}]') p1 = Point(10, 20) p2 = Point(20, 30) p1.prt() p2.prt() ----결과---- [10,20]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ColH/btsyH0r0Wbz/aLWUOC1azzR06tBKnSHu0K/img.jpg)
OOP는 Object Oriented Programing 의 약자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이라고 불립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현실세계를 모델링 하기 위한 기법이고 Class를 사용합니다. Class는 객체지향의 핵심이며 객체를 정의해 놓은 설계도 라고 볼 수있습니다. 모델링이란? 실체를 그대로 모형으로 만든다는 개념입니다. 예시로는 모델링하우스가 있습니다. 실제로 건축되지는 않았지만 건축 구조를 그대로 만들어 놓은 모형이 바로 모델링하우스이고 여기서 건축설계도는 Class로 볼 수 있고, 완공 후 는 바로 객체입니다. OOP라고 하면 추상화, 캡슐화,상속성,다형성 추상화 추상화는 객체로 정의할 대상에 대한 파악하는것이고, 상속 시 공통 특성을 하나로 묶어 상위 타입을 정의 하는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5TkV/btsyIPi8m19/VhreQnqES4oavOrAFJXUs1/img.png)
우리는 파이썬으로 파일 입력과 출력도 할 수 있습니다. FILE I/O 에서 I 는 input 으로 외부에서 프로그램으로 데이터가 들어오는것을 말합니다. O는 반대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가 외부로 나가는것을 말합니다. 이런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FILE을 생성할때에는 파이썬 내장 함수인 open을 이용하여 파일을 생성합니다. file = open("test.txt", "w") file.close() 위에 코드는 test.txt라는 파일을 없으면 생성하고 있으면 그 파일을 작성하는 형식으로 연다는 뜻입니다. 파일을 사용한 후에는 file.close()를 이용하여 파일을 꼭 닫아주셔야 합니다. 파일 열기모드는 3개로 나뉩니다. r : 읽기모드 w : 쓰기모드 a : 추가모드 입니다. 파일을 생성할때 한글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bBxP/btsyCi07MKl/k9VxruZLkjTgxHScjHKmP0/img.png)
Collection 자료구조 마지막 set 입니다. set은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순서를 활용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형변환을 시켜줘야 합니다. 주로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생성 방법은 set1 = set([1,2,3,4,1,1,1]) set2 = set("Hello") print(set1) print(set2) # ---결과--- {1, 2, 3, 4} {'e', 'o', 'H', 'l'} 입니다. set은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교집합은 set1 = set([1,2,3,4,5]) set2 = set ([4,5,6,7,8]) 이렇게 두개의 set이 있을때 set1 & set2 를 하거나 set1.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