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튜플
- 자격증공부
- 프로그래머스
- scraping
- 슬라이싱
- 태그
- CSV
- SQL 개발자
- Python
- HTML
- 프로젝트
- 데이터 타입
- django
- 조건문
- 파이선
- 스크랩핑
- 정보처리기사
- time.sleep
- 정리
- 파이썬
- SQLD
- 자격증
- 메서드
- 크롤링
- 1과목
- 딕셔너리
- 데이터베이스
- Crawling
- SQL
- lv0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9)
나의 공부 일기
코드를 작성할 때 같은 코드가 두 번 이상 쓰인다면 함수를 만들어주는 게 좋습니다. 함수를 활용한다면 코드가 훨씬 간편해지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집니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내가 사용하던 코드를 그대로 안에 넣는다고 보면 됩니다. 함수의 특징 함수는 특정코드를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작성할 코드를 하나의 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호출이라는 개념으로 함수를 사용합니다. 함수를 호출 할 때 필요한 값(인자)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함수 동작 후 결과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return)합니다. (return은 하나의 값만 반환시켜 줄 수 있습니다.) 반환 값 즉 (return)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for i in r..
반복문에서 내가 원하는 조건에서 멈추고싶다거나, 건너뛰고싶다 할 때 사용되는 break와 continue가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무한루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탈출구를 지정해 놓을 수 있습니다. 예시로 lst = [1,2,3,4,5] 라는 리스트가 있을때 lst = [1,2,3,4,5] for i in range(len(lst)): if lst[i] == 3 : print(lst[i]) break 이런식으로 활용하면 리스트 인덱스i번째의 값을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break를 이런식으로 사용한다면 lst[i] 가 3이되면 lst[i]의 값을 출력하고 이후에 값은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에 lst 의 길이가 엄청나게 길다면 이때 내가 원하는 값이 나오면 멈추고 값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복문 for문이 하나 들어가는 반복문입니다. 보통 덧셈을 해줄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a = 1 for i in range(10): print(a) a += i ---결과--- 1 1 2 4 7 11 16 22 29 37 이중 반복문 별찍기 star = "*" space = " " for i in range(1, 6): # 내가 원하는 크기를 지정해준다. 이 반복문에서는 1~5 를 잡았다. 즉 5번만 출력하는것이다. for j in range(0, i): # i 가 1씩 점점 증가하니 이 이중 반복문도 1씩 증가합니다. print(star, end="") # end 함수란 출력마지막에 어떻게 끝낼지 지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end='' 을 할 경우 줄바꿈을 하지 않고 이어붙여서 출력하게 도와줍니다. p..
전에 정리했던 분기문에 이어서 반복문에 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반목문을 알기 전에 range() 함수부터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range()는 영어 뜻 그대로 범위를 나타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range([시작범위],끝범위,[인자 사이의 간격])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안에 감싸져 있는것들은 필수가 아닙니다. 시작범위가 없다면 무조건 0부터 끝범위까지의 값을 나타내고 인자 사이의 간격이 없다면 1씩 증가하는게 기본값으로 되어있습니다. 리스트 생성을 예를 들자면 list(range())를 하면 range의 범위만큼의 리스트가 생성됩니다. 끝범위를 지정하면 5까지의 값을 나타내는것으로 시작 인덱스인 0부터 0,1,2,3,4 가 나옵니다. list(range(5)) 라면 [0,1,2,3,4] 라는 ..
제어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단 제어문이란 말 그대로 제어하는 문장을 의미하는데,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명령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제어문은 프로그램을 개발자가 원하는 대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제어문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분기문(조건에 따른 흐름 분기) 반복문(조건에 따라 코드 반복)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고 둘 다 조건문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이 제어문을 사용하기전에 파이썬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달리 흐름을 제어할 중괄호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조건문이든 제어문이든 뭐든 모든 게 들여쓰기로 그것의 시작과 끝을 나누고 흐름제어를 해줍니다. 파이썬을 사용할 때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들여 쓰기의 공백은 Tab 또는 space(공백)으로 해주는데 공백이..
정수형 계산 num1 = 1 num2 = 2 print("num1: %d ,num2: %d\nnum1 + num2 = %d " % (num1, num2, num1 + num2)) ---결과--- num1: 1 ,num2: 2 num1 + num2 = 3 문자형 계산 string1 = "Hello" string2 = " python" print( "string1: %s, string2: %s\nstring1 + string2 = %s" % (string1, string2, string1 + string2) ) ---결과--- string1: Hello, string2: python string1 + string2 = Hello python 문자열 슬라이싱 string = "Hello python" prin..
한국에서 초등학교 정도 나왔다 싶으면 한 번쯤은 무조건 봤을법한 것입니다. +1 은 양수 1을 의미하고 -1 은 음수 1이라고 합니다. 1+1=2 등등 이럴때 +,-,*,% 등등 수많은 기호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우리는 연산자라고 합니다. 각 연산자마다 의미하는 바가 있고 우선순위도 있습니다. 연산자의 우선순위 순위 연산자 뜻(의미) 1 ** 지수 (거듭 곱하기) 2 ~ , +, - 비트 (not, 양수, 음수) 3 *, /, %, // 곱하기, 나누기(실수), 나머지, 몫 4 +, - 덧셈과 뺄셈 5 >>,
우리가 컴퓨터를 통해 어디 로그인을 하거나 검색을 할 때 직접 내 아이디를 입력하거나, 내가 궁금한 내용을 직접 검색하고는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함수가 바로 input()입니다. 이 input()은 변수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앞서 정리한 것처럼 내가 원하는 정보나 값을 넣어 다양한 출력 결과를 보기 편리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계산기가 있습니다. 계산기는 내가 뭘 입력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이 바뀝니다. num1 = int(input('num1 입력:')) num2 = int(input('num2 입력:')) 이것도 마찬가지로 num1에 숫자를 넣고 num2에 숫자를 넣어 이 두개의 변수가지고 계산을하거나 숫자가 아니고 문자라면 그 두개의 문자를 합칠 수도 있습니다. input함수는 처음 입력받을..
미리 문자열의 서식을 정하고 해당 서식에 값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앞에 % 를 붙이는 형식으로 쓰는데 총 7가지가 있습니다. %s : 문자열 서식 문자(string) %c : 문자 하나(char) %d : 정수(Integer) %f : 부동소수(Float) %o : 8진수 %x : 16진수 %% : %문자 자체 이중 다른것들에 비해 엄청나게 자주 쓰이는 %s,%d,%f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s 는 앞에 설명드린것과 같이 문자열에 대해 입력할 때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name = '곽병권' print('이름: %s' % name) 이런식으로 %s 에 넣을 값을 % 뒤에 이렇게 작성하면 됩니다. 만약에 %s 가 두개이다? 그러면 넣을 값들을 () 안에 하나하나 넣어주면됩니다. %d 를 추가..
Indexing 먼저 Indexing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Indexing 이란 저번에 리스트 정리를 했을 때 a[0] 여기서 0 이 위치 즉 인덱스라고 말했었습니다. 리스트뿐만이 아니라 문자열에서도 이 [0] 이것이 가능합니다. 우리는 [0]처럼 인덱스 위치를 반환시키는 것을 인덱싱(Indexing)이라고 합니다. 문자열에서 사용예는 #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Slicing 슬라이싱(Slicing)은 인덱싱과 마찬가지로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하는 것인데, 특이점은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작:끝] 이런 식으로 시작범위에서 끝 범위까지 시작 범위를 정하지 않았다면 그 문자에 처음부터 끝까지, 반대로 끝 범위를 정하지 않았다면, 시작범위부터 끝까지를 출력합니다. 예시를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