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9)
나의 공부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wUXk/btsymCZWUYf/WCFGb4BftDwVu26JWJKwx1/img.png)
코드를 작성할 때 같은 코드가 두 번 이상 쓰인다면 함수를 만들어주는 게 좋습니다. 함수를 활용한다면 코드가 훨씬 간편해지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집니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내가 사용하던 코드를 그대로 안에 넣는다고 보면 됩니다. 함수의 특징 함수는 특정코드를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작성할 코드를 하나의 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호출이라는 개념으로 함수를 사용합니다. 함수를 호출 할 때 필요한 값(인자)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함수 동작 후 결과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return)합니다. (return은 하나의 값만 반환시켜 줄 수 있습니다.) 반환 값 즉 (return)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for i in 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c0x4/btsynB7vwoQ/mK17BFnj5OxZhkfSorcLFk/img.jpg)
반복문에서 내가 원하는 조건에서 멈추고싶다거나, 건너뛰고싶다 할 때 사용되는 break와 continue가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무한루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탈출구를 지정해 놓을 수 있습니다. 예시로 lst = [1,2,3,4,5] 라는 리스트가 있을때 lst = [1,2,3,4,5] for i in range(len(lst)): if lst[i] == 3 : print(lst[i]) break 이런식으로 활용하면 리스트 인덱스i번째의 값을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break를 이런식으로 사용한다면 lst[i] 가 3이되면 lst[i]의 값을 출력하고 이후에 값은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에 lst 의 길이가 엄청나게 길다면 이때 내가 원하는 값이 나오면 멈추고 값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czaP/btsydS9HZaR/u19i6IcUuhgbr2l6Se1hV1/img.jpg)
반복문 for문이 하나 들어가는 반복문입니다. 보통 덧셈을 해줄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a = 1 for i in range(10): print(a) a += i ---결과--- 1 1 2 4 7 11 16 22 29 37 이중 반복문 별찍기 star = "*" space = " " for i in range(1, 6): # 내가 원하는 크기를 지정해준다. 이 반복문에서는 1~5 를 잡았다. 즉 5번만 출력하는것이다. for j in range(0, i): # i 가 1씩 점점 증가하니 이 이중 반복문도 1씩 증가합니다. print(star, end="") # end 함수란 출력마지막에 어떻게 끝낼지 지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end='' 을 할 경우 줄바꿈을 하지 않고 이어붙여서 출력하게 도와줍니다. 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xcNt/btsyl1LrIkr/RllHoev6wkcwzKUuLFNB30/img.jpg)
전에 정리했던 분기문에 이어서 반복문에 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반목문을 알기 전에 range() 함수부터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range()는 영어 뜻 그대로 범위를 나타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range([시작범위],끝범위,[인자 사이의 간격])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안에 감싸져 있는것들은 필수가 아닙니다. 시작범위가 없다면 무조건 0부터 끝범위까지의 값을 나타내고 인자 사이의 간격이 없다면 1씩 증가하는게 기본값으로 되어있습니다. 리스트 생성을 예를 들자면 list(range())를 하면 range의 범위만큼의 리스트가 생성됩니다. 끝범위를 지정하면 5까지의 값을 나타내는것으로 시작 인덱스인 0부터 0,1,2,3,4 가 나옵니다. list(range(5)) 라면 [0,1,2,3,4] 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dbyW/btsybTBa2fs/VueD3RkmAN0OK3HrWguUhk/img.jpg)
제어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단 제어문이란 말 그대로 제어하는 문장을 의미하는데,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명령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제어문은 프로그램을 개발자가 원하는 대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제어문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분기문(조건에 따른 흐름 분기) 반복문(조건에 따라 코드 반복)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고 둘 다 조건문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이 제어문을 사용하기전에 파이썬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달리 흐름을 제어할 중괄호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조건문이든 제어문이든 뭐든 모든 게 들여쓰기로 그것의 시작과 끝을 나누고 흐름제어를 해줍니다. 파이썬을 사용할 때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들여 쓰기의 공백은 Tab 또는 space(공백)으로 해주는데 공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