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9)
나의 공부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mDba/btsyulKSzqI/WV5CAcmplLliPqgoCA1EN1/img.png)
Collection 중 하나인 튜플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튜플은 리스트와 같은 형태로 자료를 저장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스트는 [] 로 감싸는데 튜플은 () 를 이용하여 요소를 감쌉니다. 튜플은 상수로 고정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immutable(변하지 않음)하다 라고 합니다 튜플을 생성할때 보통 tup = (1,2,3,4,5) 이런식으로 생성하거나 빈 튜플인 tup = () 이런식으로 생성합니다. 튜플도 마찬가지로 인덱스번호로 튜플내의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tup(1,2,3,4) 에서 tup[0] 을 한다면 1이 나옵니다. 튜플의 특징은 튜플이 생성되면 값이 고정되므로 변경이나 삭제가 불가능하고, 고정할 리스트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또 튜플은 list보다 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px0w/btsytPeaEbK/odeERXLBtfKppNYtpXKahK/img.jpg)
정렬 알고리즘 중 하나인 버블(Bubble)정렬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버블 정렬이란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 비교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을 말합니다. 인접한 2개의 레코드를 비교하여 크기가 순서대로 정렬되어있지 않다면 두 값을 서로 교환해주는것을 말합니다. 파이썬에서 이를 구현할때는 조금 다르게 구현되는데, 정렬할 리스트에 관한 반복문 두개를 생성 한 뒤 처음 반복문에서 비교시킬 값을 고정시키고 두번째 반복문에서 첫번째 반복문에서 고정시킨값과 비교하며 정렬방식에 맞게 더 작거나 더 큰 값이면 바꿔주는 이런걸 말합니다. 처음값 9와 나머지값 4 5 1 3 을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일경우 서로 변경해주는 코드입니다. lst = [9,4,5,1,3] for i in range(len(lst)-1) : f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yJrT/btsytgbOpIl/ogBISmSSFtWLiQIiBNCdO0/img.jpg)
random을 이용하여 로또 예상 번호 생성하기 입니다. 코드 작성시 유의사항 중복값이 생성되지 않도록 합니다. 하나의 보너스 번호도 생성합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값들과 중복되면 안됩니다. 100회차까지 출력합니다. from random import * for i in range(100): lst = [] while len(ls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ElLP/btsytYB0GWR/HsDK91Mgq7RKGASEnLkGOk/img.jpg)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vscode 라는 에디터에서 실행하는데 import 를 통하여 내가 필요한 패키지 혹은 모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난수는 import를 통해 random 모듈를 가져와 사용하는것입니다. random이란 말 그대로 랜덤한 값을 가져오는 패키지 입니다. import random 를 입력하여 실행하고, random 모듈의 특정 함수만 가져오는 from random import * 가 있습니다. * 에 자리에 내가 원하는 기능을 가진 함수를 넣으면 그 함수만 가져오고 *를 그대로 사용하면 random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능들을 가져옵니다. 이 random에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4개의 함수들이 있습니다. randint() random() uniform() randrange() 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77um/btsyqvHs34e/aKbB2GMsAi3dmOi0cEV6qk/img.png)
리스트 자료형에 이어서 이번엔 리스트 관련 함수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리스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함수들입니다. del append() sort() reverse() index() insert() remove() pop() count() extend() 이렇게 10개 정도 있는데, 순서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del 먼저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 혹은 범위를 지우는 함수인 del입니다. lst = [1,2,3,4] del lst[1] print(lst) ----- 결과 ----- [1, 3, 4] lst [1]인 2가 사라져 1, 3, 4 만 출력된걸 볼 수 있습니다. lst[1] 혹은 lst [1:3] 이런 형식으로 인덱스를 지정해 주거나 범위를 잡아주는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append() 리스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