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scraping
- SQL 개발자
- 태그
- Crawling
- CSV
- HTML
- 프로그래머스
- 크롤링
- SQLD
- 자격증공부
- 튜플
- 프로젝트
- 메서드
- 파이선
- 1과목
- 데이터베이스
- 정보처리기사
- lv0
- 조건문
- 스크랩핑
- Python
- 파이썬
- 정리
- 슬라이싱
- time.sleep
- SQL
- 딕셔너리
- django
- 데이터 타입
- 자격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9)
나의 공부 일기
정수형 계산 num1 = 1 num2 = 2 print("num1: %d ,num2: %d\nnum1 + num2 = %d " % (num1, num2, num1 + num2)) ---결과--- num1: 1 ,num2: 2 num1 + num2 = 3 문자형 계산 string1 = "Hello" string2 = " python" print( "string1: %s, string2: %s\nstring1 + string2 = %s" % (string1, string2, string1 + string2) ) ---결과--- string1: Hello, string2: python string1 + string2 = Hello python 문자열 슬라이싱 string = "Hello python" prin..
한국에서 초등학교 정도 나왔다 싶으면 한 번쯤은 무조건 봤을법한 것입니다. +1 은 양수 1을 의미하고 -1 은 음수 1이라고 합니다. 1+1=2 등등 이럴때 +,-,*,% 등등 수많은 기호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우리는 연산자라고 합니다. 각 연산자마다 의미하는 바가 있고 우선순위도 있습니다. 연산자의 우선순위 순위 연산자 뜻(의미) 1 ** 지수 (거듭 곱하기) 2 ~ , +, - 비트 (not, 양수, 음수) 3 *, /, %, // 곱하기, 나누기(실수), 나머지, 몫 4 +, - 덧셈과 뺄셈 5 >>,
우리가 컴퓨터를 통해 어디 로그인을 하거나 검색을 할 때 직접 내 아이디를 입력하거나, 내가 궁금한 내용을 직접 검색하고는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함수가 바로 input()입니다. 이 input()은 변수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앞서 정리한 것처럼 내가 원하는 정보나 값을 넣어 다양한 출력 결과를 보기 편리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계산기가 있습니다. 계산기는 내가 뭘 입력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이 바뀝니다. num1 = int(input('num1 입력:')) num2 = int(input('num2 입력:')) 이것도 마찬가지로 num1에 숫자를 넣고 num2에 숫자를 넣어 이 두개의 변수가지고 계산을하거나 숫자가 아니고 문자라면 그 두개의 문자를 합칠 수도 있습니다. input함수는 처음 입력받을..
미리 문자열의 서식을 정하고 해당 서식에 값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앞에 % 를 붙이는 형식으로 쓰는데 총 7가지가 있습니다. %s : 문자열 서식 문자(string) %c : 문자 하나(char) %d : 정수(Integer) %f : 부동소수(Float) %o : 8진수 %x : 16진수 %% : %문자 자체 이중 다른것들에 비해 엄청나게 자주 쓰이는 %s,%d,%f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s 는 앞에 설명드린것과 같이 문자열에 대해 입력할 때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name = '곽병권' print('이름: %s' % name) 이런식으로 %s 에 넣을 값을 % 뒤에 이렇게 작성하면 됩니다. 만약에 %s 가 두개이다? 그러면 넣을 값들을 () 안에 하나하나 넣어주면됩니다. %d 를 추가..
Indexing 먼저 Indexing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Indexing 이란 저번에 리스트 정리를 했을 때 a[0] 여기서 0 이 위치 즉 인덱스라고 말했었습니다. 리스트뿐만이 아니라 문자열에서도 이 [0] 이것이 가능합니다. 우리는 [0]처럼 인덱스 위치를 반환시키는 것을 인덱싱(Indexing)이라고 합니다. 문자열에서 사용예는 #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Slicing 슬라이싱(Slicing)은 인덱싱과 마찬가지로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하는 것인데, 특이점은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작:끝] 이런 식으로 시작범위에서 끝 범위까지 시작 범위를 정하지 않았다면 그 문자에 처음부터 끝까지, 반대로 끝 범위를 정하지 않았다면, 시작범위부터 끝까지를 출력합니다. 예시를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