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9)
나의 공부 일기
만약에 우리가 좌표를 저장하는 기능의 코드를 짠다고 가정을 했을 때 class 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변수 두 개를 만든 후 출력하는 x = 10 y = 20 print(f'[{x}, {y}]') 이런 식으로 코드를 짜게 될 겁니다. 한두 번 사용하는 거면 이런 식으로 사용해도 큰 불편함은 없지만 이게 수백 수천번 사용된다고 하면 정말 불편할 것입니다. 저 코드를 클래스로 작성한다면 class Point: def __init__(self, x, y): self.x = x self.y = y def prt(self): print(f'[{self.x},{self.y}]') p1 = Point(10, 20) p2 = Point(20, 30) p1.prt() p2.prt() ----결과---- [10,20] [2..
OOP는 Object Oriented Programing 의 약자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이라고 불립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현실세계를 모델링 하기 위한 기법이고 Class를 사용합니다. Class는 객체지향의 핵심이며 객체를 정의해 놓은 설계도 라고 볼 수있습니다. 모델링이란? 실체를 그대로 모형으로 만든다는 개념입니다. 예시로는 모델링하우스가 있습니다. 실제로 건축되지는 않았지만 건축 구조를 그대로 만들어 놓은 모형이 바로 모델링하우스이고 여기서 건축설계도는 Class로 볼 수 있고, 완공 후 는 바로 객체입니다. OOP라고 하면 추상화, 캡슐화,상속성,다형성 추상화 추상화는 객체로 정의할 대상에 대한 파악하는것이고, 상속 시 공통 특성을 하나로 묶어 상위 타입을 정의 하는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
우리는 파이썬으로 파일 입력과 출력도 할 수 있습니다. FILE I/O 에서 I 는 input 으로 외부에서 프로그램으로 데이터가 들어오는것을 말합니다. O는 반대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가 외부로 나가는것을 말합니다. 이런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FILE을 생성할때에는 파이썬 내장 함수인 open을 이용하여 파일을 생성합니다. file = open("test.txt", "w") file.close() 위에 코드는 test.txt라는 파일을 없으면 생성하고 있으면 그 파일을 작성하는 형식으로 연다는 뜻입니다. 파일을 사용한 후에는 file.close()를 이용하여 파일을 꼭 닫아주셔야 합니다. 파일 열기모드는 3개로 나뉩니다. r : 읽기모드 w : 쓰기모드 a : 추가모드 입니다. 파일을 생성할때 한글을..
Collection 자료구조 마지막 set 입니다. set은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순서를 활용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형변환을 시켜줘야 합니다. 주로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생성 방법은 set1 = set([1,2,3,4,1,1,1]) set2 = set("Hello") print(set1) print(set2) # ---결과--- {1, 2, 3, 4} {'e', 'o', 'H', 'l'} 입니다. set은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교집합은 set1 = set([1,2,3,4,5]) set2 = set ([4,5,6,7,8]) 이렇게 두개의 set이 있을때 set1 & set2 를 하거나 set1.inter..
Collection 자료구조 중 세번째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앞서 정리한 리스트와 튜플과는 약간 다릅니다. 리스트와 튜플은 요소들을 저장해 놓은것이지만 딕셔너리는 키값, 벨류값이 나뉘어져 들어갑니다. 딕셔너리의 형태는 {} 안의 순서대로 key값:value값 이런 형식으로 들어가있습니다. 딕셔너리의 키값:value값 을 합쳐 item 이라고 부릅니다. 딕셔너리 = {'a' : 1} 이렇게 a 가 1이다 라는걸 저장하여 보여줄 수 있죠 딕셔너리 생성방법으로는 딕셔너리 = {key1:value1, key2:value2....} 딕셔너리 = {} 딕셔너리 = dict() 이렇게 기본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딕셔너리에도 추가하거나 값을 반환받거나 삭제하거나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