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9)
나의 공부 일기
은닉된 속성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getter와 setter가 있습니다. 게터 세터 라고 부릅니다. 세터(setter)는 개체에 속성을 설정하는 역할의 메서드 입니다. 반대로 게터(getter)는 개체의 속성을 반환하는 역할의 메서드 입니다. 세터에다가 이 개체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설정해놓고 게터로 반환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class exam: def __init__(self, x, y): self.__x = x self.__y = y def setX(self, x): self.__x = x def setY(self, y): self.__y = y def getX(self): return self.__x def getY(self): return self.__y ex1 = exam(10, ..
분수의 덧셈 첫번째 분수의 분자를 뜻하는 numer1 과 분모를 뜻하는 denom1이 있고, 두번째 분수의 분자를 뜻하는 numer2 와 분모를 뜻하는 denom2이 있습니다. 이들을 합친 값을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자와 분모를 순서대로 담은 리스트를 반환하게 만들면 됩니다. 여기서 분수의 덧셈은 분모의 값을 같게 맞춰준다음 약분을 하면 되는것인데 문제에서는 기약분수 즉 약분을 할 필요없이 분자와 분모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주면 됩니다.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파이썬에서는 import로 패키지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중 math를 불러와 사용해보겠습니다. math 에는 그 수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gcd 라는 함수가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정보 은닉(외부 접근 제한)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접근 지정자의 지원이 타 OOP언어에 비해 느슨합니다. '_'(underscore)문자를 이용하여 비슷한 개념을 표현합니다.(name mangling) _ : 외부 접근을 제한한다는 개념 (타 OOP 언어에서 protected개념과 비슷합니다. 강제성은 없습니다.) __: 해당 형식에서만 접근 가능함 (타 OOP 언어에서 private개념과 비슷합니다. 강제성은 없습니다.) 속성과 메서드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멤버 접근 제한이나 하위 클래스의 오버라이딩을 제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__ 의 기본적 형태는 class exam: def __init__(self, name=None, age=0): self.__name = name..
숫자 비교하기 입니다. 정수 num1 과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졋을때 두 수를 비교하여 두 수가 같으면 1 다르면 -1을 반환하는 문제입니다. 비교 하는것으로 if 문(조건문) 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if문으로 같으면 1 다르면 -1 이 나오도록 조건을 만들어줍니다. def solution(num1, num2): if num1 != num2 : answer = -1 elif num1 == num2 : answer = 1 return answer elif 대신 else 로 해도 되겟죠?
두 수의 나눗셈 입니다. 몫을 구하려면 // , 나머지를 구하려면 % , 나눗셈의 값을 구하려면 / 를 해주면 됩니다. 문제에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후 정수 부분을 반환하라고 했으므로 1,000을 곱해줍니다. num1을 num2로 나누는 문제로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여기서 num1 / num2 * 1,000 을 한다면 정수값이 나오지만 아직 정수형으로 변환을 해주지 않았기때문에 정수.0 으로 아직 실수 값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 실수값을 int()로 묶어주어 반환값 answer에 넣어주면 됩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int(num1/num2*1000) return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