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9)
나의 공부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vxND/btsyMKwwoEp/LJ5VGc8uhBNcOpkzDlkT90/img.png)
몫 구하기 입니다. 변수 num1, num2가 주어질때 num1과 num2를 나눈 몫을 반환하는 문제입니다. 몫을 구하려면 // 를 해준다면 몫만 나오고 % 를 해준다면 나머지만 나옵니다. 그냥 / 를 했을경우 나눈 값이 나옵니다.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에서 num1//num2 의 값을 반환할값 answer에 넣어줍니다. 결과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HkkE/btsyJyYaj93/5WrhduqhkKfVys6QjI75q1/img.png)
두 수의 곱입니다. 변수 num1 과 num2가 주어졌을때 이들의 곱을 반환해주면 됩니다. num1 * num2 를 반환하는 변수 answer 에 넣어주면 됩니다. 초기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결과값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08WQ/btsyPz8Q3hd/XKQ7LDZHIKnGIpk5IvypJK/img.png)
이번엔 두 수의 차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초기값으로 이렇게 주어지는데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간단하게 반환값에 변수 num1 과 num2의 차를 넣어주면 끝이납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KTvb/btsyLOGbzIB/snjU6YQ1wKFCQmCZu5rX5k/img.png)
아주 기본적인 초등학생 수학입니다. 변수 num1 과 num2 가 주어졌을때 그들의 합을 반환시키는 문제입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0 return answer 이렇게 초기값으로 주어지는데 반환시킬 값에 num1 과 num2 의 덧셈을 넣어주면됩니다.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num2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KcgU/btsyPVRdG78/76LD5TMRnwz4ZDTSOymQI1/img.png)
이번에는 함수와 메서드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함수는 저번에 정리했던 일반함수와 클래스내에서 사용되는 메서드로 나뉩니다. 더 정확히는 클래스의 멤버 변수를 이용해서 구현된 함수를 메서드라고 부릅니다. 메서드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인스턴스 메서드, 클래스 메서드, 스태틱 메서드 입니다. 먼저 인스턴스 메서드란 객체 생성 후 객체 참조를 통해 호출 가능한 메서드를 말합니다. self변수를 통하여 메서드 호출 객체를 구분하여 객체 변수를 활용합니다. 다음 클래스 메서드 (@classmethod) 는 클래스 이름을 통하여 호출 가능한 메서드입니다.(객체 변수는 활용 불가능합니다.) cls를 통하여 호출시 클래스 정보를 전달하여 클래스 변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은 스태틱 메서드(@staticmet..